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3)
그릿 (더크워스, 2016) 지난 2016년에 출간되어 출간된지 4년이 넘었으나 여전히 의미있는 영향력을 잃지 않은 책, 그릿. 다시 책장을 들추며 내 삶에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책 서문의 문구가 마음을 사로잡는다. 저자가 맥아더상을 시상했던 과거를 떠올리며 당시 자신의 아버지에게 미처 하지 못하고 마음에만 담았던 생각을 글로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하나만 말씀드릴게요. 아버지가 자신의 일을 좋아하는 만큼 저도 자라서 제 일을 좋아할 거예요. 저는 그냥 직업이 아니라 천직을 찾을 거예요. 매일 스스로에게 도전하고, 넘어지면 다시 일어날 거고요, 거기가 가장 똑똑한 사람은 못 되더라도 가장 집념이 강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할 겁니다.” 이 몇 문장에 저자는 독자들에게 말하고 싶은 ‘그릿'에 관한 핵심적인..
짐로저스, 한반도 투자 시나리오(로저스, 백우진, 2019) 북한에 주목하라 2017년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GNI) 146만원, 2019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 1,400달러의 세계 최빈곤국. 북한의 실정이다. 그 나라를 중장기 헤지펀드 투자의 귀재인 짐 로저스가 주목하고 있다. 그는 지금까지 중국, 싱가포르, 일본, 홍콩, 대만에 투자하며 투자 성공신화를 써왔고, 최근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에 주목하고 있다. 향후 최소한 향후 10년~20년은 긍정적일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짐 로저스가 공저한 책, ‘앞으로 5년 한반도 투자 시나리오’에 나오는 내용이다. 책을 몇 페이지 넘기면 서문에 쓰여져 있는 글귀가 눈에 확 박힌다. “돌이킬 수 없는 거대한 변화의 시작” 로저스가 오래지 않아 역사와 경제를 뒤흔들 변화의 진원지로서 서슴지 않고 북한을 꼽는 이유가 무엇..
도서, "아주 작은 습관의 힘" (클리어, 2018) 책을 읽어 깨달음이 생기는 경우는 잦다. 그러나, 그런 깨달음이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는 드물다. 책의 내용 뿐만 아니라 그 책을 읽고 있는 독자인 나의 행동 변화에 대한 동기가 맞물려야 하기 때문이다. 클리어가 지은 책,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은 긍정적인 습관을 쌓으려고 Habitify라는 어플까지 구입하여 활용하기 시작한 요즘의 나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실천력을 높여 주었다. 책의 내용은 마치 찰스 두히그의 ‘습관의 힘' 후편을 보는 듯 했다. 두히그의 책이 습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면 클리어의 책은 좋은 습관을 어떻게 정착하고 나쁜 습관을 어떻게 없앨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알려 준다. 두히그와 마찬가지로 클리어도 행동주의 심리학에 철처히 기반을 두어 습관 형성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