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CM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젝트 리더의 사고의 틀 심리학에서 스키마(schema)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사고의 틀’이라고 설명된다. 스키마는 방안에 있는 사람이 창을 통해서 바깥의 풍경을 내다보듯이, 사람들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대하고, 판단하고, 행동으로 옮길 의사결정을 하는 사고(생각)의 틀이다. 사람들은 아주 어릴 때부터 자신은 인식하지 못하지만 ’나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해 자연스레 스키마를 갖게 된다. 엄마 손을 잡고 길을 가던 어린 아이가 자신의 앞을 지나가는 짐승을 ’개’라고 인식하고, 개는 고양이와 다르다고 아는 건 스키마 덕이다. 학생은 학생다워야 하고, 직장인은 직장인다워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스키마 때문이다. 어떤 나라 사람들은 이런 특징이 있고, 어느 특정 지역이나 학교 출신은 이러저러한 성향이 있다.. 프로젝트 리딩 전문가 성공적인 PM은 어떤 사람인가? 한 마디로, 이들은 프로젝트 리딩 전문가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프로젝트 성공을 이끄는 전문가’다. 범위, 일정, 비용 등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목표 지표가 아무리 만만치 않아도 PM 전문가들은 과업 성공을 이끌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의 사고와 행동은 빙산에 비유된다. 바다 위에 장엄하게 솟구쳐 있는 빙산의 크기가 5미터라면, 수면 아래에 잠겨있는 크기는 30–50미터에 달한다. 현실에서 표면화되어 나타나는 전문가의 사고 방식과 행동은 마치 빙산의 일각과 같다. 이들은 눈 앞의 주어진 일들을 간단히 처리해 나가는 듯이 보인다. 그런데, 전문가가 처리하는 이 일들이 실제로 이처럼 단순할까? 아니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만약, 초보자라면 그 일에 직면해서는 무엇부터 어.. 프로젝트 리더십 모델, PLCM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프로젝트 수행이 매우 중요하고, PM의 과업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나 프로젝트 매니저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나 체계적인 고민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통상 프로젝트 매니저에게도 당연히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하기는 한다. 하지만 이 말은 의사결정이나 협상,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몇몇 인간관계 기술을 적용하는 차원에서 협의적이거나 직관적으로 이야기될 뿐이다. 필자는 프로젝트 리더의 역량을 조망할 수 있는 프로젝트 리더십 모델(염준규, 2013)을 최초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 모델은 1) 행위의 대상, 2) 행위의 지속성 이라는 2개 차원으로 프로젝트 리더십의 주요 영량 요소들을 구분한다. 즉, 이 모델은 2개 차원으로 구분된 4개 분면, 8개의 역량 요소로 프로젝트 리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