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akeholder Management

Stakeholder의 Stake?

이해관계자는 영어 단어로 Stakeholder다.
이해관계자는 Stakeholder를 의미적으로 해석한 말이니, 먼저 영어 단어인 Stakeholder에 대해서 살펴 보자.

 

Stakeholder는 Stake와 Holder가 합쳐진 단어다. Dictionary.com 사이트에는 Stake를 명사로서 “경계 표시, 울타리의 일부, 식물에 대한 지지 등으로 한쪽 끝을 가리키는 막대기 또는 기둥(a stick or post pointed at one end for driving into the ground as a boundary mark, part of a fence, support for a plant, etc.)” 으로 정의 돼 있다. [1]

 

즉, Stake는 원래 땅에 박는 막대기나 말뚝을 지칭한다. Holder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니, Stake와 Holder를 단순히 합쳐서 말을 만들어 보면 ‘말뚝을 가지고(지니고) 있는 사람'이다. 사람들이 왜 이런 단어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됐을까? 일설에 따르면, 실제로 19세기 경 미국에서 자신의 토지라고 주장하고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땅의 네 귀퉁이에 막대를 박았다고 한다.

 

McManus는 자신의 도서에서 Stake의 의미를 세 가지로 구분해서 이렇게 설명한다.
“Stake는 비즈니스나 기술,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또는 프로젝트)에서의 이익(interest) 또는 몫(share)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여기서 이익이나 몫을 관심 사항이나 기대치, 권한에 대한 인식, 오너십 등으로 달리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와 정부라는 두 이해관계자가 갖는 관심 사항에 대해서 고려해 보자. 회사의 관심사는 이윤 극대화, 지적 재산권 보호, 자원과 수요의 균형, 고객의 행복과 기타 관심사에 있다. 반면, 한 회사에 대한 정부의 관심사는 규제자, 세금 징수자, 방어제품 고객, 무역수지 관리자 및 기타 공공재에 관련된 많은 사람들일 수 있다.

 

* 출처:
[1] dictionary.com
[2] “Managing Stakeholders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McManus,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