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릿(Grit)' 성찰과 실천(3) - 성취 공식(2) 성취 공식을 처음 대하면서 언뜻 잘 이해되지 않았던 것은 아래로 휘어져 내려가는 연속된 곡선이었다. 성취 공식은 두 개의 식으로 구성돼 있다. 재능 x 노력 = 기술 기술 x 노력 = 성취 일반적인 수학 공식으로 간주한다면, 첫 번째 식의 기술에 해당하는 ‘재능 x 노력'을 아래의 식의 ‘기술’에 대입하여 ‘성취 = (재능 x 노력) x 노력 = 재능 x 노력2’ 라는 더 단촐한 등식을 생각하기도 했다. 더크워스는 성취 공식을 이렇게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하지 않았을까? 그 답은 두 개의 성취 공식을 표현한 그림에 있다. 일정 수준 이상의 기량을 갖추는 것과 그 기량을 바탕으로 성취를 이루는 것은 ‘다르다'. 우리가 보다시피 성취 공식의 그림은 단속되지 않은 곡선이 한번 휘어져 있다. 즉, 기술(기량)과 .. '그릿(Grit)' 성찰과 실천(2) - 성취 공식(1) 더크워스가 ‘성취’에 관해 제시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재능 x 노력 = 기술 기술 x 노력 = 성취 책에서 이 공식을 처음 보았을 때, 솔직히 너무 단순하다는 생각을 했다. ‘아니~ 그릿이라는 엄청한 개념을 설명하는 공식이라고 하기에는…’ 이런 생각을 하며 한참을 들여다 보았다. 재능, 노력, 기술, 그리고 성취... 비록 네 개의 단어로 조합된 두 개의 공식이지만, 연구자의 고민이 흠뻑 배어 있다고 느껴졌다. 연구자는 이 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증명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날을 고민했을까? 책에는 그 험난했던 연구의 과정을 공식의 단순함과 대비하여 역력하게 표현하고 있다. “실험실에 있는 노트북 10여 대의 용량이 넘치도록 수십 쪽에 이르는 도표를 만들었다. 때로는 혼자, 때로는 가까운 동료와 .. '그릿(Grit)' 성찰과 실천(1) - 재능과 노력 더크워스는 성공과 성취에 대해서 갖고 있는 두 가지 요소인 재능과 노력에 대해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이중적이며 잣대에 대한 예시를 들고 있다. 미국인을 대상으로 ‘재능과 노력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전국적인 설문 조사 결과, 노력이 재능보다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2배 정도 더 많았다고 한다. 만약, 이 설문 조사 결과가 신뢰롭고 타당하다면 우리 삶에서 이러한 증거가 일관되지 드러날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 연구자가 동일한 사람에 의해 연주가 된 피아노 연주곡을 피험자들에게 들려 주며, 한 명은 일찍이 선천적인 재능을 드러낸 ‘재능형'으로, 다른 한명은 강의 성취동기와 끈기를 보여준 ‘노력형'으로 소개했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본인들이 재능과 노력에 대해.. 이전 1 2 3 4 5 ··· 13 다음